Today I learned(88)
-
2024.03.07 부트캠프 2주차 - (4)
어플개발 종합반의 1주차를 기억하시나요? 일다니면서 뺀 살이 그만둔지 한달만에 복귀했다.. BMI가 올라갈 거라더니..진짜 넘 많이 쪄서 몸무게에 충격 받고 헬스를 등록했다 점심시간에 막간을 이용해서 유산소랑 하체를 했는데 너무너무 상쾌했지만 !! 입병이났다 아야.. 약 두달만에 운동하니 관절이 소리도 지르고 늙었다 늙었어 3n은 다르다 오늘은 github branch 특강이 있었다 몽롱한 상태로 강의를 들었는데 손으로 필기를 해가며 들었더니 그나마 좀 나았다 강의 들을때마다 요점정리 했더니 꽤 많이 쌓였다 나는 기록을 남기는 걸 엄청 좋아하는 편이다 생각보다 섬세해서 다꾸(다이어리꾸미기)도 좋아한다 이제까지 사 모은 스티커만 해도 두자리수를 넘어가는거같다 오늘 할 말이 너무 많은건 공부한 내용이 적어서..
2024.03.07 -
"::" 이 가지는 의미?
코틀린에서 ::는 메서드 참조나 클래스 참조를 나타내는 연산자입니다. 이 연산자를 사용하면 특정 메서드나 클래스의 참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메서드 참조(Method Reference): 특정 메서드를 변수로 저장하거나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메서드를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메서드의 이름만을 가지고 있는 참조를 얻습니다. 클래스 참조(Class Reference): 클래스 자체를 변수로 저장하거나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클래스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2024.03.07 -
초기화란?
초기화(Initialization)는 변수나 객체를 처음 값을 할당하거나 설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변수나 객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초기화해야 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초기화를 할 수 있습니다.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변수나 객체를 선언하는 동시에 값을 할당합니다. 이 방법은 변수가 선언되는 시점에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나중에 초기화: 변수나 객체를 선언할 때 초기 값을 주지 않고, 필요한 시점에 값을 할당합니다. 이 방법은 변수가 선언될 때 값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nullable 변수: 변수나 객체를 선언할 때 Nullable로 선언하고, 필요한 시점에 값을 할당합니다. Nullable 변수는 초기값이 없을 수 있음을 표현합니다. 생성자를 통한 초기화:..
2024.03.07 -
2024.03.07 알고리즘 - 자릿수 더하기, 약수의 합
자릿수 더하기 n.toString(): 주어진 정수 n을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sumBy 함수는 각 문자에 대해 주어진 람다식을 적용하고 결과를 합산합니다. it - '0'은 각 자리의 숫자를 정수로 변환하여 합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간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약수의 합 1..n 범위에 있는 각 숫자를 filter 함수를 사용하여 주어진 수 n의 약수만을 걸러냅니다. 그리고 sum() 함수를 이용하여 약수들의 합을 계산합니다. ** 1부터 n까지의 숫자 범위를 만듭니다. 즉, 1..n. 이 범위에 대해 각 숫자를 하나씩 확인합니다. 확인한 숫자가 n의 약수인지 확인합니다. 즉, n을 그 숫자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0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약수라면(나머지가 0이면), 그 숫자를 결과에..
2024.03.07 -
2024.03.06 부트캠프 2주차 - (3)
오늘 먼가 많이 한 느낌이다 알고리즘 네개 했지, 3주차 강의 정리도 했지, 개인과제도 손봤지, 용어정리도 했지.. 이제 KIA만 읽으면 끝인데.. 책이 넘 두껍다.. 아무리 책 읽는 걸 좋아한다고 해도 이건 너무해.. 600페이지 짜리는 진짜 오랜만이자나..?(사실 별로 없음) 사피엔스가 마지막인거 같다(다 안읽음) 오늘 코틀린 문법 가이드 섹션이 있었는데 자료를 안올려주셨다.. 기억이 흐릿하다.. 그래서 못썼다... 올려주시면 추가할 예정이다 알고리즘(1) 짝수의 합, 배열의 평균값 알고리즘(2) 짝수와 홀수, 평균 구하기 프로퍼티와 메소드 프로퍼티와 메서드 클래스 내부에 정의되는 변수와 함수를 멤버 변수, 멤버 함수라고 부른다. 또 다른 용어로 프로퍼티, 메서드라고도 부른다 클래스 안에 정의된 변수..
2024.03.06 -
문법 종합반 3주차 - (2)
06. 상속 클래스(설계도) 간의 관계를 더욱 끈끈하게 만들 수 있어요 공통적인 요소들이 있다면 부모/자식 클래스를 구분해서 상속관계를 만들 수 있어요 코틀린은 다른 언어들과 달리 생략된 final 키워드로 기본적으로 상속을 막아두었어요 무분별한 상속으로 예상치 못한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막았어요 코틀린은 open 키워드를 활용해서 상속 관계를 만들 수 있어요 ▶ 어디에 사용하는가? 다형성을 구현할 수 있어요 클래스의 내용을 변경해야하는경우 부모 클래스만 변경하는것으로 공수를 줄일 수 있어요 ex1) 닭, 참새, 비둘기는 새라는 부모에서 출발했다는 관계를 만들어줄 수 있어요 ex2) 부모클래스(Bird)에서 생성자를 활용하는 경우에 자식에서 객체 생성시 전달해줘야해요 07. 오버라이딩 상속받은 부모 클래..
2024.03.06